College of Culture and Arts
문화예술대학은 감성과 지성의 융합적 상상력에 바탕을 둔 열린 문화, 인간다움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시키는 예술,
글로벌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창의적 리더 양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21세기 신성장동력으로
문화기술과
문화산업을 증진시키고자 실천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혁신해 나가고 있습니다.
문화예술대학은 1981년 대학의 설립과 함께 출발하여 지역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전통문화의 특성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며 나아가고 있는 문화예술대학은 현재 융합디자인학부의 시각영상디자인, 산업디자인 전공과 패션주얼리학부의 패션디자인, 주얼리디자인 4개 전공, 사진영상드론학과, 인테리어디자인학과, 뷰티미용학과, 음악학과의 4개학과로 이루어진 미래지향적인 고등교육체계를 가지고 전문 인력을 양성합니다.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테이블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과(전공) | 구분 | 학과특성 | 재학생(단위:명) | ||
---|---|---|---|---|---|
정원내 | 정원외 | 계 | |||
뷰티미용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42 | 11 | 153 |
사진영상드론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55 | 2 | 57 |
융합디자인학부 | 주간 | 일반과정 | 162 | 6 | 168 |
음악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19 | 2 | 121 |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85 | 1 | 86 |
패션・주얼리학부 | 주간 | 일반과정 | 114 | 3 | 117 |
디자인학부 | 주간 | 일반과정 | 4 | 3 | 7 |
사진영상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61 | 2 | 63 |
시각영상디자인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 | 0 | 1 |
의상디자인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20 | 1 | 21 |
조형디자인학부 | 주간 | 일반과정 | 35 | 2 | 37 |
문화예술대학 소계 | 798 | 33 | 831 |
※ 2019년 4월1일 기준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테이블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준 연도 |
단과대학 | 학과(전공) | 합계 | 전임교수 | |||
---|---|---|---|---|---|---|---|
계 | 교수 | 부교수 | 조교수 | ||||
2019 | 문화예술대학 | 뷰티미용학과 | 10 | 4 | 1 | 1 | 2 |
2019 | 문화예술대학 | 사진영상드론학과 | 9 | 4 | 2 | 1 | 1 |
2019 | 문화예술대학 | 융합디자인학부 | 13 | 9 | 3 | 3 | 3 |
2019 | 문화예술대학 | 음악학과 | 28 | 3 | 2 | 1 | 0 |
2019 | 문화예술대학 |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7 | 5 | 2 | 0 | 3 |
2019 | 문화예술대학 | 패션・주얼리학부 | 15 | 8 | 5 | 1 | 2 |
문화예술대학 소계 | 82 | 33 | 15 | 7 | 11 |
※ 2019년 4월1일 기준
시각영상디자인전공 : 뉴미디어와 지식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전문적 이론과 실습을 통한 교육방법으로 창의적인 기획 및 제작 능력을 갖춘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시각영상디자인학과는 시각디자인과 영상디자인을 함께 융합한 학과로서 날로 발전되어가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분야는 그래픽과 영상을 함께 융합하는 디자인으로 변화되어가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맞는 교과과정을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다. 산업디자인전공 : 21세기 디지털정보화시대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디자이너의 양성을 위하여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쾌적한 생활공간을 실현하고 꿈과 즐거움을 주는 교육서비스의 제공 및‘디지털 테크닉·디자인 프로세스·디자인 이론’등으로 구성된 맞춤형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즉시 적응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을 극대화하여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지역밀착형 디자이너 및 국내외 지역에서 활동이 가능한 맞춤형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한다.
21세기 글로벌 및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Creative Talent)육성’을 위하여 ‘독창성의 개발(Idea)', '공간감각의 육성(Sence)', '표현기술의 개발(Technique)', '문제해결능력의 향상(Solution)'을 4대 교육목표로 정하고, 실내건축기사 자격증 취득과 디지털 테크닉, 현장실무능력 그리고 디자인 및 건축 이론으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통하여 졸업 후 현장실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실기능력과 이론지식을 고루 갖춘 우리나라 인테리어계에 ‘온리원(Only One)'의 독보적인 인재를 양성을 목표로 한다.
패션디자인 전공 최신 트랜드를 반영한 의복의 디자인적 창의성, 시대적 패션성, 감각적 예술성, 과학적 기능성을 균형 있게 조화시켜 국제화된 패션산업 분야에 필요한 유능한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글로벌 패션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패션 실무이론과 상품기획, 디자인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온라인 패션상품 쇼핑몰 창업자로서 사회에 당당히 진출할 수 있도록 패션상품의 개발, 마케팅 및 홍보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주얼리디자인 전공 주얼리디자인전공은 대표적인 미래형 지식기반 학문이면서 창의력과 개성이 중시되는 주얼리디자인 영역으로, 전공과 산업체간 연계 시스템을 추구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 선택에 부응할 수 있는 교과목 개발과 산학협동 인프라 구축을 통해 미래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인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뷰티미용학과는 미래 감성시대에 주목되고 있는 분야로서 뷰티산업의 과학화를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뷰티미용산업의 전문가를 길러내는 실용학문이다. 뷰티미용학과는 크게 헤어디자인, 메이크업, 피부미용(스킨케어), 네일의 4가지 모듈로 형성되며, 각 학년별 단계별 심화학습을 통해 4개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편성하였다. 광주대 뷰티미용학과는 이론 및 실무능력을 두루 갖추어 각 미용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독창적이고 국제적 감각을 겸비한 뷰티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본 대학교의 사진영상드론학과는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사진영상 관련 분야를 교육하는 인기학과로 디지털환경 변화의 중심에 서있는 학과이며, 미래지향적 실무교육 과정을 수립하고 실제현장과 같은 실습환경을 조성하여 사진영상분야의 전문인을 집중적으로 특별양성하고 있는 학과이다. 본 학과는 지금까지 사진영상분야의 대학, 방송국, 신문사, 국내 유명 광고스튜디오 등에서 활동하는 많은 전문인을 배출하여 전국 대학의 동일 학과(부)간 경쟁에서 우의를 점하고 있는 지방 명문학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 최고의 사진영상 교육의 장을 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