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대학기관안내

웹소설창작 연구소

설치목적

  •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는 국내 4년제 대학 최초로 웹소설 장르문학을 특성화하여 신인 작가와 전문 인력을 배출해 온 성과를 바탕으로, 웹소설 이론과 교육 연구 방법론에 관한 전문성을 더욱 심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웹소설 창작 연구소'를 설립하였습니다.
    본 연구소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웹소설 교육 방법론과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웹소설 창작과 이론 교육을 담당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급성장하고 있는 웹소설 산업에 부응하는 한편, 대학에서의 웹소설 창작 교육을 선도하는 국내 최고의 전문 연구·교육 기관으로 발돋움하고자 합니다.
    나아가 본 연구소는 한국 웹소설의 세계화와 한류 IP 콘텐츠로의 개발 및 확산에도 기여하고자 합니다. 국제 웹소설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화 전략, 웹소설 원작의 영상화·게임화 등 미디어 믹스 전략 등을 연구하고 이를 교육 과정에 반영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웹소설 창작자와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 데 힘쓸 것입니다. 궁극적으로는 K-웹소설이 한류 콘텐츠의 새로운 한 축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연구와 교육 양 측면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입니다.

기능 / 주요 업무

  • 웹소설 창작 연구소는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가 그간 쌓아온 웹소설 교육의 성과를 토대로, 급변하는 웹소설 산업 현장과 대학 교육을 긴밀히 연계하고 이론과 실무가 조화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글로벌 소통 양식으로 자리잡은 웹소설이 국경을 초월하여 전 세계 독자들과 만날 수 있도록, 웹소설의 글로벌 진출 전략과 한류 콘텐츠화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해외 유관 연구 기관 및 산업계와의 교류를 강화하는 한편, 국제 공동 연구 및 제작 프로젝트 발굴에도 힘써 한국 웹소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허브 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계획입니다.

연구소 설치 및 운용

조직기구도
웹소설창작연구소 조직도
임무
  • 웹소설 교육 방법론 및 전문 프로그램 연구 개발
  • 문예창작학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웹소설 창작·이론 교육 고도화
  • 연구위원 : 웹소설-박도형(초빙교수), 장르문학-안점옥(문예창작과 조교수), 뉴미디어콘텐츠-김중일(문예창작과 조교수)
  • 자문위원 : 김준현(목포대), 유인혁(전주대), 홍덕구(군산대), 이선근(키다리스튜디오 팀장), 이민우(뉴스페이퍼 대표)
  • WWW(Welcome to the World of Webnovels) 웹소설 창작 교육연구팀 :
    조형래(문예창작과 조교수), 박도형(웹소설 작가, 문예창작과 초빙교수, 박사과정), 고영석(평동중 교사), 김여울(교사), 최현주(아동청소년문학 작가) 원종상(웹소설 작가) 김고운, 김병욱, 김태연(이상 석사과정)
  • 협력기관 : 광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더스쿠프, 동악어문학회, 문피아, 문학들, 키다리스튜디오

주요활동

  • 웹소설 교육 방법론 및 전문 프로그램 연구 개발
  • 문예창작학과 학부 교육과정과 연계한 웹소설 창작·이론 교육 고도화
  • 대학원 웹소설 전공 과정 신설 및 전문 인력 양성 (2024년 1학기 신입생 모집)
  • 웹소설 창작·이론 관련 학술 연구 및 비평 활동
  • 웹소설 작가, 편집자, 에이전트 등 현장 전문가 초청 특강 및 세미나 개최
  • 국내외 웹소설 관련 연구 기관 및 산업계와의 교류·협력
  • 웹소설의 글로벌 진출 및 OSMU 전략 연구
  • 한류 웹소설 IP 발굴 및 국제 공동 제작 프로젝트 기획

연혁

  • 2023년 11월 : 개설 초대 소장 이기호 교수
  • 2024년 02월 : 계명대 인문과학연구소(소장 김영찬)와 공동 콜로키움 개최
  • 2024년 06월 : 웹소설 창작교육연구팀 WWW 출범

연락처

  • 광주대학교 행정관 9층 904호
  • 전화번호 062-260-2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