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목적
교육만족도 조사는 만족도가 낮은 분야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지원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향후 정부재정지원사업 및 대학의 미래계획수립 등에 활용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습니다.
교육만족도 조사 시스템
관련규정 및 조직구성
- 교육만족도 관리규정 : 제5조(실행부서)
- 교무처 : 재학생 교육 및 교원만족도 조사
- 학생지원처 : 학부모, 생활관 및 복지시설 만족도 조사
- 국제협력처 : 유학생 만족도 조사
- 총무처 : 직원 만족도 조사
- 산학협력단 : 산업체 만족도 조사
- 호심취·창업지원단 : 졸업생, 대학생 취업기업 만족도 조사
- 조직도
- 총장
- 교육혁신처장
- 교육만족도관리위원회
-
- 행정부서(실행부서)
- 교무처/교육혁신처/학생지원처/국제협력처/총무처/생활관/호심취·창업지원단산학협력단
만족도조사절차
교육혁신처
교육만족도관리위원회
- 1단계:실시계획 수립
-
영역별 설문안 검토
- 조사계획 수립
- 조사목적 및 범위
- 조사대상
- 조사시기 및 일정
- 조사방법 및 항복
- 조사방법 검토
- 실행부서
내·외부 전문가
- 2단계:조사 실시
- 부서별 조사 실시
- 재학생
- 유학생
- 졸업생
- 교원
- 직원
- 산업체
- 생활관 입사생
- 졸업생 취업기업
- 복지시설 이용자
- 학부모
- 지역사회
- 실행부서
내부 전문가
- 3단계:조사결과 분석
- 분석 및 결과보고서 작성
- 교내 게시판에 결과 공개
- 개선과제 도출
- 실행부서
내부 전문가
- 4단계: 개선계획 수립ㆍ실행
- 개선방안 수립 및 실현 가능성 검토
- 부서별 개선방안 시행
- 개선계획 시행에 따른 이행보고
- 교육혁신처
외부 전문업체
실행부서
만족도조사
- 만족도조사
- 대학본부(기획처 교무처 총무처,학생지원처)↔학생 및 산업체 만족도 조사↔산학협력단 및 산업단
- 만족도 조사 결과분석 및 활용
- 만족도 분석 및 개선사항 도출 개선 계획 수립
교육만족도관리위원회
- 교육과정 개편방안 수립
대학 중장기발전계획
자체평가위원회
- 산학연계 교육과정 개편방안 수립
교육과정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 교육과정 심의/개편
교육과정위원회
교양교육원
- 교육환경 개선
기획처, 총무처
공간위원회
- 행정서비스 개선
총무처
- 개선이행점검
교육만족도관리위원회
-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무처
단과대학/학부(과)
- 만족도 제고 및 환류
수업질관리위원회
교육만족도관리위원회
추진방법
추진방법 표 :조사대상과 조사내응을 구분하여 알려주는 표입니다.
조사대상 |
조사내용 |
재학생 |
교양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시설 및 편의시설 환경, 행정서비스, 대학생활
|
복지시설 |
종합만족도, 휴게시설, 편의시설, 복지시설, 학생자치시설, 기타 교내시설
|
생활관 입사생 |
사생관리, 시설관리, 식당·편의점 운영 만족도
|
유학생 |
유학 생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프로그램 만족도
|
졸업생 |
취업지원 프로그램 인지도 및 인지 경로, 만족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유용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대학일자리센터 인식 및 희망 프로그램
|
교원 |
교육환경, 연구환경, 학사제도 및 근무환경, 대학 발전가능성 및 전반 만족도
|
직원 |
직원 근무여건 및 복지 만족도, 교내·교외 직원교육 만족도
|
산업체 |
산학협력 형태 및 방법, R&D 지원 전략, 사업화 지원 전략, 인력 양성계획
|
졸업생 취업기업 |
광주대학교 졸업생에 대한 만족도,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
학부모 |
광주대학교 종합만족도
|
지역사회 |
광주대학교 만족도, 지역민의 희망 프로그램
|
결과 활용
활용 방안
- 학생 교육만족도 조사 : 전공 교육과정 개편 등에 반영
- 학생, 교원, 직원의 행정서비스 만족도 조사 : 서비스 개편 및 제고를 위해 활용
- 학부모 및 산업체, 졸업생 대상 만족도 조사 : 서비스 개편 및 제고를 위해 활용
추진일정
- 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시행계획(안) 확정
- 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실행계획안내 및 실행부서별 계획 수립
- 만족도 조사 시행
- 전문기업에 분석 의뢰 및 분석보고서 도출
- 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결과 공유
환류체계
교육수요자 만족도
- 조사결과
- 재학생
-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 제고
- 교양교육과정 전공 연계성
- 대학본부
- 교무처
- 교육과정 개편방안
-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자체평가위원회
- 교육과정 상의/개편
- 교무처-교양교육과정위원회
- 교양교육원
- 교육과정 편성/운영
- 3대 핵심역량 확대
- 교양교육과목질관련 관리위원회
- 만족도 제고 및 환류
- 수업질관리위원회
- 교육만족도관리위원회
산업체수요자 만족도
- 조사결과
- 산업체담당자 및 졸업생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 제고
교양교육과정 전공 연계성
- 산학협력단 및 사업단
- 산업인력교육원
- 산학연계교육과정 개편방안수립
- 교육과정위원회
- 자체평가위원회
- 교육과정 편성/운영
- 홈페이지 정보게시/전담인력 배치
- 재직자 프로그램/캡스톤 디자인과 현장실습 등
- 만족도 제고 및 환류
- 수업질관리위원회
- 교육만족도관리위원회
기대효과
- 교육수요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교육의 질 향상
- 사회적 수요에 맞는 교육과정을 발굴하여 기업 및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 배출
- 행정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